“이상득 의원이 내년도 공천을 받는다면 수도권은 전멸한다”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이 한 인터뷰에서 밝힌 바처럼 주류를 뒤집는 혁명에 가까운 공천만이 내년 19대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결국 한나라당은 물론 민주당에서 논의되는 현재의 공천개혁 논의의 본질은 물갈이다. 젊은층을 끌어들이는 한편 공천과정에서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양당 모두 고심을 거듭하고 있으나 물갈이 대상인 현역의원들과의 갈등 조정 등 만만찮은 진통이 예상된다.
▶파격 공천으로 젊은층 확보=20~30대 젊은 유권자들이 총선 승리의 필요조건이라는 데 양당 모두 이견이 없다. 이들이 변화의 핵심이다. 파격에 가까운 공천시스템을 도입해야만 이들의 눈에 띌 수 있는다는 생존 차원의 공천개혁안들이 이미 현실화 단계에 들어섰다.
민주당은 ‘청년비례대표’를 신설해 당선 안정권에 만 25~29세 남녀를 각 1명씩 주는 방안을 포함시켰다. 남녀 후보자를 각각 3배수로 추천해 전국 단위의 국민경선으로 대상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포퓰리즘적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20대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전망이다.
민주당은 젊은층의 기호에 맞는 후보자를 물색하는 방안도 적극적이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1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을 이끌던 386이 486이 됐다”며 “유능한 인재 영입은 필수”라고 말할 정도로 20ㆍ30대 유권자들이 선호하는 개혁 성향의 인물 영입은 지상과제다.
취약지역인 영남권에 비례대표 20%를 할당하는 방안도 민주당 공천개혁안에 포함됐다.
한나라당 역시 전략공천 비중을 10~20%까지 높이며 전략공천을 젊은 유권자들이 선호하는 인물로 끌어들일 계획이다.
▶전국민이 참여하는 경선제= 한나라당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을 언급하고 있다. 당원이 아니라도 유권자면 누구나 특정정당의 경선에 선거인단으로 참여해 후보자를 뽑을 수 있는 제도다. 밀실ㆍ계파공천을 없애고 공천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다. 나경원 의원은 이같은 내요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이미 발의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오픈프라이머리가 정치 신인의 등장을 가로막고 현역의원들의 자리 굳히기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문제점은 제도적으로 보완가능하며 오픈프라이머리 실현을 통해 열린공천의 개혁성을 더욱 부각시킬 때 총선승리가 가능하다는 게 한나라당의 생각이다.
민주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등 거의 모든 형태의 공천에 오디션 형태의 경선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케이블 TV의 오디션 프로그램인 ‘슈퍼스타 K’ 와 같이 ‘오디션’(토론회)을 통해 후보의 기본적 자질을 검증하겠다는 것이다. 오디션을 평가할 국민배심원단을 구성하고 이들의 평가를 당원투표와 국민선거인단 투표 결과와 합산한다.
▶얼마나 물갈이할까?=결국 이같은 양당의 공천 개혁 작업이 현실화될 경우 현역의원들의 배제는 불가피하다. 이들의 반발에 따른 진통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한나라당이 선택한 오픈프라이머리의 경우 공천개혁의 취지에는 부합하지만 결국 현역의원들의 자리굳히기 수단으로 변질될 가능성마저 높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략공천 비중을 높이는 한편 당지지율보다 후보지지율이 낮은 지역 현역의원들을 물갈이 대상으로 삼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전략공천 비율을 10~20%로 높일 경우 텃밭인 영남권의 현역의원들 대거 교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현역의원들은 이같은 공천개혁 작업이 소장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상당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어 조만간 또다른 갈등이 표출될 가능성도 크다. 친이계 한 중진 의원은 “소장파들이 상당히 오버하고 있다”며 “당 전체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공천개혁 역시 호남지역 현역의원들을 겨냥하고 있다. 현재 당내에선 호남지역 의원 30% 교체설 등이 언급되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총선 승리의 필수조건으로 인재영입을 강조해 향후 공천개혁과 맞물릴 경우 당내 불협화음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민주당의 경우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야권 연대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적정 공천비율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다.
호남권 한 중진의원은 “호남권은 물론 수도권의 현역의원 교체는 필수”라고 전제한 뒤 “하지만 구체적인 교체 방법론에 대해서 좀 더 숙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정민 기자@wbohe>
boh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