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구공항 예비이전 후보지 조사 연구용역’에서 군사 작전효율성, 공항 적합성 등의 기준에 따라 1차로 포함된 11개 시와 군이 설명회 대상이다.
경북 11개 시와 군 중 시 단위는 경주시, 김천시, 영천시, 상주시 등 4곳이다. 군 단위는 경북의 군위군, 의성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등 6곳과 대구시 달성군 등 총 7곳이다.
사진: 군공항 활주로에서 우리 공군 전투기가 출격 대기하고 있다. [사진=공군] |
11개 시와 군의 민군 통합공항 후보지는 총 20곳으로, 20곳이 모두 용역대상이다.
설명회에서는 국방부가 군 공항이전사업 절차, 경제효과 등을 설명한다.
국토부는 민간공항 이전사업 내용, 용역사는 용역진행 상황, 대구시는 이전 주변 지역 지원방안 등을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그동안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투명하게 추진하기 위한 설명회를 요청해왔다.
국방부는 최종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오는 12월 예비이전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군은 이전 후보지 지방자치단체 유치 신청 접수, 주민 의견 수렴 과정 등을 거쳐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최종 이전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18일 수원, 대구, 광주 군공항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와 관련된 용역 결과 3곳 군공항 이전으로 이전 대상지에 총 16조 1302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 12만7143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힌 바 있다.
수원, 대구, 광주 각각의 군공항 이전에 따른 생산 유발액은 5조5751억원, 7조2899억원, 4조8299억원 등 총 16조1302억원에 달했다 일자리 창출 효과는 수원 3만9062명, 대구 5만1784명, 광주 3만6297명 등 총 12만7143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정부는 수원공항 대체 신공항 건설에 4조104억원, 대구 민군 통합공항 건설에 5조2625억원, 광주공항 대체 신공항 건설에 3조5539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중에서 수원과 광주의 경우 군공항만 이전하지만, 대구는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통합이전하기 때문에 이전 대상지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군 당국도 대구공항의 경우 민간공항이 군공항과 함께 이전해 이전지역에 들어서는 신공항은 대구, 경북지역의 거점공항 역할을 하게 돼 국내외로 많은 유동인구가 발생하게 되고 숙박, 식당, 판매시설 등이 늘어날 것이라고 군은 기대했다.
군 관계자는 “군부대가 주둔하면 군장병과 가족 등 인구가 유입되고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며 식당과 슈퍼 등 판매시설이 들어서 소비활동이 증가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학교가 활성화되고 교통여건이 좋아지는 등 이전공항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군공항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 기지보다 약 2배 정도의 부지를 매입해 소음 피해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입하지 않은 일부 소음 피해지역에 대해서는 보상, 방음시설 설치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고도제한에 따른 재산권 행사 제한 문제와 관련해 군은 “고도제한이 가장 심한 비행안전구역을 모두 매입해 기지 외곽부터는 거리에 따라 15층 규모 이상의 건물 등을 신축할 수 있다”며 “이전 지역은 도심이나 주택 밀집지가 아닌 밭, 논, 임야 등으로 이뤄진 복합지형이므로 사실상 고도제한에 따른 재산권 행사 제한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군공항이 들어섬에 따라 지역 개발에 한계가 생길 거라는 우려 또한 나온다. 특정 지역이 군공항으로 결정될 경우, 향후 수십년간 군사시설 인근에 있다는 이유로 개발 계획에서 배제되고 이 때문에 토지가가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18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가급적 개발 계획이 없는 지역을 군공항 입지로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sooh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