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rf] |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최근엔 유럽 선진국 외에 아시아국이 성장세를 이끄는 형국이다. 베트남이 태양광 발전 비중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고 풍력 발전에선 중국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의 성장속도는 아직 더디기만 하다.
국제 에너지 연구기관 엠버(EMBER)의 ‘국제 전력리뷰 2022(Global Electricity Review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태양광 발전은 23%, 풍력은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전력 생산량의 10% 이상 차지할 만큼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를 포함, 친환경 에너지는 작년 동안 전 세계 전력의 38%를 생산, 석탄(36%)을 앞질렀다.
풍력과 태양광은 기술적으로도 이미 경쟁력이 입증됐다는 게 엠버의 분석이다. 50여개 국가에서 전력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선 40% 이상을 담당할 만큼 주력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있다.
풍력과 태양광이 전 세계 전력 10% 이상을 담당하게 된 건 작년이 처음이다. 파리기후협정(2015년)엔 4.6%에 그쳤는데, 그 사이 점유율을 2배 이상 늘렸다.
풍력과 태양광이 10% 이상 차지하는 50여개국 중에는 다양한 국가가 포함돼 있다. 특히 최근 빠르게 성장, 작년에 새롭게 10%를 돌파한 국가 7개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11.2%), 일본(10.2%) 등 동아시아 인접국도 작년 10%를 돌파했다. 그 외에도 몽골(10.6%), 베트남(10.7%), 아르헨티나(10.4%), 헝가리(11.1%), 엘살바도르(12%) 등이다.
이 분야의 강국은 덴마크, 룩셈부르크, 우루과이 등으로, 각각 비중이 52%, 43%, 47%에 이른다.
[출처 엠버 국제전력리뷰 2022] |
[출처 엠버 국제전력리뷰 2022] |
코로나 사태 이후로 좁혀보면,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국가로는 네덜란드, 호주, 베트남 등이 꼽힌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2년 만에 총 전력 수요의 8% 이상을 풍력과 태양광으로 전환시켰다. 네덜란드는 14%에서 25%로, 호주는 13%에서 22%로, 베트남은 3%에서 11%로 급등했다. 엠버는 특히 베트남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작년 베트남은 태양광 발전량이 337%나 급증, 전 세계에서 10번째로 거대한 태양광 발전국가가 됐다.
풍력도 태양광 다음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력 공급원이다. 작년동안 14% 증가, 총 1814TWh의 발전량을 기록했다. 풍력에서 가장 주목받는 국가는 중국. 엠버는 “의심할 여지 없는 풍력발전의 리더(without doubt the wind leader)”라고 중국을 평가했다. 작년 전 세계 풍력 발전 성장의 65%를 중국이 담당했다. 한 해 동안 증가한 풍력 발전량이 아르헨티나 전체 전력 수요(148TWh)에 맞먹을 정도다. 작년 말 대규모 해상풍력 시설을 증축하면서 올해에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케냐도 풍력 발전량이 11%에서 16%로 크게 증가했다.
다만, 중국은 석탄 발전도 급증하고 있다. 즉, 중국의 전력 수요 자체가 급증하면서 기존 화석연료를 활용한 전력도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도 모두 크게 늘고 있는 셈이다. 중국의 작년 석탄 발전량은 466TWh 증가, 일본과 한국의 석탄 발전량을 합친 것과 비슷한 규모로 늘었다. 전 세계 석탄 발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4%에서 작년 54%로 크게 늘었다. 작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의 절반도 중국 몫이다. 엠버 측은 “넷제로를 달성하려면 석탄 발전은 매년 13%씩 감소해야 한다. 2021년 36%에서 2030년까지 8%로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어떨까? 한국의 태양광·풍력 발전 기중은 4.9%에 불과했다. 전체 발전량의 64%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기후솔루션 전력시장계통팀의 저스틴 홈스 프로젝트 매니저는 “한국의 화석연료 과대한 의존은 기후에도 위협적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기업들의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또 “차기 윤석열 정부가 재생에너지를 위한 공정하고 유연한 전력시장 마련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선 풍력과 태양광 입지에 불필요한 이격거리 규제를 없애고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