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차세대 발사체, 별개 사업 아냐”
“기술이전 등 경험 기반 사업 수행 자신”
발사체 체계조립장 이달 착공, 25년 완성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이달 착공하는 발사체 체계조립장의 내부 조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정부가 ‘한국판 스페이스X’로 불리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이번 사업을 따내 뉴스페이스 시대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누리호 체계종합기업으로서 그간 쌓아온 경험과 적극적인 우주사업 투자를 바탕으로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사업부 상무는 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어떻게 만들 것인가’ 세미나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지금 우리가 누리호 체계종합을 하고 있는데 차세대 발사체 사업은 이와 떨어질 수 없다”며 “누리호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발사체 사업을 하는 것이기에 둘을 별개의 사업이라고 볼 수 없다”며 차세대 발사체 체계종합기업 입찰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차세대 발사체 사업은 대형 위성 발사, 달 착륙선 발사 등 우주탐사를 위해 누리호 대비 3배 이상의 성능을 내는 2단형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으로 2030년과 2031년, 2032년 세 차례 발사를 목표로 한다. 체계종합기업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2032년까지 차세대 발사체 공동 설계와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 발사 운용을 맡게 된다.
지금까지 우주 사업이 정부 주도로 진행됐던 것과 달리 이번 사업은 기업이 중심 역할을 맡는 조달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 프로젝트로 손꼽힌다. 한화에어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함께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이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준원(왼쪽 첫번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사업부 상무는 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우주항공청 어떻게 만들 것인가’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김은희 기자 |
이 상무는 이날 세미나에서 ‘초기 시장 확보 및 서플라이체인(공급망) 구축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한화그룹은 우주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지정한 뒤 우주사업에 대해 적극 투자해 왔다”면서 “특히 발사체와 관련해 대전에서 R&D(연구개발) 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발사체 체계조립장을 이달 착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유일의 발사체 체계조립장을 통해 누리호라든지, 향후 미래 발사체를 조립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한화에어로가 508억원을 투자해 전남 순천에 짓는 발사체 체계조립장은 발사체의 각 단을 제작하고 기능을 점검하는 시설로 발사체 체계종합기업이 갖춰야 하는 필수 인프라로 여겨진다.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에어로는 지금까지 ▷원웹 3465억원 ▷시마론 1100억 ▷쎄트렉아이 1089억원 등 국내외 우주 관련 기업에 누적 8000억원 가량을 투자했으며 앞으로도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상무는 “우주사업의 경우 당분간 적자가 불가피하겠지만 장기적·지속적으로 투자한다는 방향성은 확실하다”면서 “투자를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해외는 스페이스X 주도로 뉴스페이스 시대가 본격화돼 멀리 나아가고 있지만 우리는 민간의 기반이 탄탄하지 않아 올드스페이스와 뉴스페이스의 가운데인 전환점에 있다”면서 “누리호 고도화 사업을 통해 2026년까지 민간 발사서비스 역량을 100% 확보하고 그 이후 상업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우주 산업 생태계를 완성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했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지난해 6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제언으로는 ▷산업화 촉진을 위한 안정적 발사 수요 창출 ▷산업 관점으로의 제도 개선 ▷발사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사장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상무는 특히 “우주 개발 수요가 있어야 우주산업화가 가능하다”면서 “민간 수요를 자체적으로 만들 수는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우주 개발 수요 창출에 있어서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개발‘이 아닌 ‘산업’의 관점에서 발사체 사업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기존의 R&D 방식으로는 매출 인식 및 영업이익 실현이 불가능하고 협약 또는 확정계약으로는 적정 이윤을 확보하기 어렵다”면서 “기업 참여 촉진을 위해 계약 방식을 도입하고 개산계약(개략적인 금액으로 우선 계약하고 공사 종료 후 최종 정산하는 계약) 등으로 원가제도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eh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