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韓 정부부채 5년후 GDP 60%” 1인당 25만원 쏠 여력되나

국가채무(중앙+지방정부 채무·D1)에 비영리공공기관의 부채를 더한 한국의 정부부채(D2) 비율이 2021년에 이미 50%를 처음 넘었고 2029년에는 6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IMF(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15년 40.8%였으나, 2019년 42.1%에서 코로나19 때인 2020년 48.7%로 급등했다. 이어 2021년에는 51.3%를 기록하며 처음 50%를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한국의 정부부채가 56.6%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9년에는 59.4%에 이르러 60%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했다. 1~2%대 저성장이 고착되면서 세수는 주는데, 정부가 내는 빚은 계속 늘고 있어 국가 신인도 하락에 따른 경제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정부부채 비율은 일본(252.4%)과 이탈리아(137.3%), 미국(122.1%), 프랑스(110.6%), 캐나다(107.1%), 영국(101.1%), 독일(64.3%) 등 주요 7개국보다는 낮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기축통화국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보다는 덴마크(30.4%)와 스위스(38.3%), 노르웨이(41.8%), 뉴질랜드(45.9%), 네덜란드(47.2%) 등을 주목해야 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제와 민생이 총체적 위기 상황이라며 자신이 선거 때 공약한 총 13조원 규모의 전국민 지원금(1인당 25만원)과 총 1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대출 이자 경감 등 민생 회복 긴급조치를 시행하라고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이런식의 미봉책은 당장은 달콤하겠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라고 설파한 밀턴 프리드먼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풀린 돈이 다시 물가를 자극해 작금의 고물가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경제위기나 팬데믹 같은 비상상황에 꺼내들 카드를 함부로 소진하면 정작 나라가 위태로울때 대처할 수단을 잃게 된다.

민생회복 지원금 14조원을 마련하려면 추경을 짜야하는데 빚에 쪼들리는 현실에서 언감생심이다. 내년에 만기가 돌아와 정부가 갚아야 할 국채가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선다. 국채 이자 상환에만 들어간 예산이 지난해 24조원이고 올해는 29조원으로 는다. 전체 예산의 4.4%를 원금도 아닌 이자를 갚는데 쓴 셈이다. 전임 문재인 정부가 국채 발행 잔액을 5년간 400조원이나 늘린 탓이 크다. 설익은 논리로 나랏돈을 함부로 써대며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을 우습게 여기다 국가부도를 수차례 겪은 남미 국가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