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상장 안착 웹툰 엔터, 김준구 대표 “亞 디즈니 목표 절반 넘었다”
자회사 스튜디오N 통해 프로덕션 ‘선별적’ 진행
매출 비중, 플랫폼 80%·광고 10%·IP 10%…성장 여지↑
올해 1분기 에비타 흑자, 상장 이유 “성장 가속화”
인재 채용·북미 플랫폼 확장·광고 등 투자
웹툰 엔터테인먼트 나스닥 상장 벨링잉. 김준구 CEO 겸 창업자(왼쪽에서 아홉번째), 이해진(왼쪽에서 열번째) 네이버 창업자 겸 GIO. [네이버웹툰 제공]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미국 나스닥에 안착한 웹툰 엔터테인먼트(웹툰 엔터)가 “‘아시아의 디즈니’라는 목표 절반을 넘어섰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또 현재 매출 비중이 플랫폼 80%, 광고 10%, 지적재산권(IP) 10% 등임을 밝히며, 성장의 기회가 많다고 진단했다. 나스닥 상장의 이유에 대해서는 현금 확보가 아닌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27일(현지 시간)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김준구 웹툰 엔터 최고경영자(CEO), 김용수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처럼 나스닥 상장 후 소회를 밝혔다.

지난 2020년 김 CEO는 아시아 디즈니를 목표로 내세운 바 있다. 또 IP를 기반으로 한 IP전환(IP adaptation)이 선순환 구조에 올랐다고 자신하면서도, 대자본 투입 보다는 선별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김 CEO는 “처음 세웠던 계획이 36년이었고, 현재 절반을 조금 넘게 왔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다양한 IP를 확보할 수 있는 창작풀이 조성돼 있고, 이것이 일본과 미국에서 증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의 디즈니라는 말의 의미는 훌륭한 작품을 배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과 IP를 함께 갖춘 회사라는 의미”라며 “그런 측면에서 웹툰 엔터가 유의만 글로벌 플레이어가 됐고, 콘텐츠 플레이어로서 디즈니처럼 롱런할 수 있는 회사를 만들고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IP전환 등 관련 사업에 대해서는 “IP의 다양성이 IP전환에 있어 웹툰 엔터가 가진 가장 큰 무기”라며 “스튜디오N 자회사에서 영화 등을 제작할 수 있는데, 굉장히 선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스닥 상장 이후 외형 성장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피력했다. 특히 현재 매출 비중이 플랫폼 80%, 광고 10%, IP사업 10% 등임을 확인하며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방증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성장 둔화 및 수익성이 낮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적극 반박했다. 지난해 웹툰 엔터 매출(연결 기준)은 12억8275만달러(약 1조7717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8.8% 성장했지만, 순손실은 1억4500만달러(약 2003억원)로 흑자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상태였다.

김 CSO는 “플랫폼, 광고, IP사업 등 세 가지 사업이 모두 성장할 여지가 많다”며 “플랫폼은 한국과 일본에서의 성공 이상을 북미와 글로벌 시장에서 만들어 나갈 것이고, 광고 사업도 의도적으로 많이 키우지는 않았으나 고도화시키고 글로벌 성장 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연간으로 조정 에비타(EBITDA·현금 창출 능력) 기준, 오퍼레이팅 캐시플로우(영업 현금 흐름) 기준 흑자를 달성했다”고 했고, 김 CEO도 “영업이익 같은 부분은 성장을 통해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지 창작자를 압박해서 얻어내야 할 건 아니”라고 잘라 말했다.

나아가 이번 나스닥 상장 이유가 현금 확보가 아닌 성장을 위한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김 CSO는 “미국 테크 기업 상장을 보면 운영 자금을 위해 투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네이버웹툰은 영업 현금 흐름이 플러스”라며 “AI를 포함한 테크, 북미 시장에서 플랫품·광고·IP사업 등을 더 빨리 치고나가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편, 이날 있었던 웹툰 엔터 상장 기념 타종행사에는 김 CEO와 함께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참석하기도 했다.

김 CEO는 “투자자들이 ‘네이버와 어떤 관계냐’라는 질문을 해서 아버지와 아들이 같이 살다가 아들이 독립해나간 관계라고 했다”며 “이 GIO가 ‘고생했다, 울컥하더라, 자랑스럽다’라고 했다”고 전했다.

k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